이탈리아는 드라기 총리 사임(7.20)으로 치러진 조기총선(9.25)으로 우파연합 승리
[ 선거 결과 ]
- 우파연합 : 이탈리아 형제들(FdI), 동맹(Lega), 포르자 이탈리아(FI)의 3개의 정당
- (선거 결과)선거결과) 우파연합은 44% 지지율로 상하원 과반을 넘는 다수당 지위 확보
- 우파연합은 사전 합의대로 3개 정당 중 최다 득표당인 FdI의 당대표인 ‘멜로니’가 이탈리아 사상 첫 여성 총리로 취임 유력
- ‘멜로니’ 신임 이탈리아 총리는 이민, EU 정책 등을 반대하는 강한 극우적 정치 색채로 자신의 지지세를 확장한 정치인
- 10.13일 상하원 의장 선출 후, 10월말 총리 취임 예정
[향후 정책 방향]
- 재정정책을 확장하고 감세를 추진하는 등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 추진, 특히 EU와 러시아 제재에 대한 이견을 보일 것으로 예상
- 대선 공약으로는 에너지 위기에 따른 보조금, 세율 인하 및 연금개혁 등을 제시
- 이탈리아는 향후 확장적 재정정책이 전망되고, 재정건전성은 악화 우려
- 이탈리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지원에는 공감하나 에너지 위기 타개를 위해 러시아에 대한 제재 동참에 이견을 보이고 있고, EU와 러시아에 대한 정책 추진에 있어 이견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시사점]
- 2015년 중동 난민 유입 사태와 영국의 브렉시트로 영향력이 커진 유럽의 극우 포퓰리즘 정당은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한 위기의식으로 위축되었었다.
-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 각 국에서 극우 정당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
- 유럽 주요국의 극우정당 집권 현황 : (헝가리) 2010년, (폴란드) 2019년, (스웨덴) 2022.9월, (프랑스) 2022.6월
- 역사적으로 극우 정당은 항상 경제위기 속에서 영향력을 키워왔고,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금리 급등, 경기악화로 더 많은 극우 정당이 등장할 우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英 금융혼란, 영국 중앙은행(영란은행)의 긴급 대응책 (1) | 2022.10.09 |
---|---|
킹달러 충격, 달러화 강세는 언제까지 갈 것인가? (2) | 2022.10.08 |
영국의 경기부양책의 내용과 영향 (3) | 2022.10.06 |
일본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과 시사점 (3) | 2022.10.05 |
미국 기준금리 0.75% 인상(자이언트 스텝) 결정의 의미 (13)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