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을 한단계 업 시켜주는 정보 공유 하기

재태크 정보/[일반 상식] 돈 되는 상식

NFT, 대체불가능토큰은 무엇인가?

JK골든크로스 2022. 8. 17. 15:29

#  NFT의 정의

우선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1)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

2) 그림·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써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하는 디지털 자산을 말한다

 

 

기존 암호화폐와의 차이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NFT는 모두 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지만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가상공간에서 화폐(돈)의 의미

NFT는 가상공간에서 교환권(상품권)의 의미한다는 점에서 차이 

 

1) 1개의 비트코인은 또 다른 1개의 비트코인과 서로 같은 가치로 대체가 가능한 토큰(Fungible Token;FT)

2) 하지만 NFT는 하나하나가 서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기 때문에 예술 작품에 활용되는 것

3) 굳이 예술 작품 이외에도 각종 게임의 아이템에 NFT를 적용하거나, 한정판의 유통 등에도 사용될 수 있음

4)다시말하면 비트코인, 이더리움으로 NFT에 투자했다가 나중에 NFT를 화폐로 바꿀 수 있다는 점이 차이

#  NFT의 특징

1)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누구의 통제도 받지 않으며 복제불가능한 고유성을 가지 있기 때문에 희소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차이점

2) NFT로 가치생성된 디지털 자산들은 소유자와 거래 이력이 블록체인 기술로 기록되며 이를 함부로 변경하거나 복사할 수 없음, 이는 NFT로 생성된 디지털 파일을 복사하더라도 최초의 NFT와는 다른 NFT를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초 생성된 NFT(진품)과는 구별된다는 의미

 

# NFT의 대표적인 사례

NFT 거래시장에서 상위 10개 작품이 3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 했으며 역대 거래대금은 70억 달러에 이름

출처 :  https://kr.beincrypto.com/learn-kr/92-2/
 

 

<대표적 NFT : 지루한 원숭이들의 요트클럽(BAYC)>

1)  원숭이 아바타가 그려진 10,000개의 NFT컬렉션

2)  상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모든 종류의 원숭이를 창조

3)  BAYC가 출시된 이후, 10,000마리의 원숭이 캐릭터들은 총 2,430만 달러(각 200달러)에 판매됨

 

 

#  국내 NFT 현황

롯데홈쇼핑은 자체 캐릭터 '벨리곰'에 멤버십 혜택을 연계한 NFT 총 1만 개 발행

출처 : 롯데홈쇼핑, 벨리곰 멤버십 NFT

 벨리곰 멤버십 NFT는 총 6개 등급(벨리, 홀릭, 메가, 슈퍼, 서프라이즈, 프렌즈), 
유통업계는 차별화된 멤버십 혜택 제공으로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경쟁하고 있는 중

 

< 대표적 혜택> 

1. NFT 소유주 : 롯데 계열 자회사 이용시 줄을 서지 않아도 되는 '벨리 패스' 이용

                           롯데호텔 숙박 할인, 전용 할인쿠폰, 한정판 피겨 증정 등의 혜택

2. 최상위 등급 '벨리' 소유주

 - 롯데 시그니엘 숙박권 및 조식 이용권이 포함된 '시그니엘 플레티넘 패키지',  롯데호텔월드 숙박권, 어트렉션 패스권, 샤롯데시어터 관람권 등 제공

 

#  NFT의 리스크

‘22.7.18 WEB3 전문 보안기업 서틱(CERTIC)은 보고서에서 NFT 민팅(발행) 지원플랫폼 “프리민트(Premint)”에서 해킹사고가 일어나 5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사례 보고

<상황 요약>

1) “프리민트”는 NFT 운영진이 각종 이벤트나 가상자산 지갑 주소를 이용자로부터 수집할 때 사용되는 플랫폼으로 서비스 편의성이 뛰어나 많은 NFT 발행 운영진이 프리민트를 도입 

2) 블록체인은 위변조의 난이도가 매우 높지만,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고객들의 편의성을 위해 기존 웹(WEB2)기술을 활용할 때 보안 리스크 발생 우려

3) 고객들은 NFT 거래의 편의성을 위해 모든 권한을 넘겨주는 거래에 서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기존 웹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보안에 취약한 점이 있음

4) 해커는 악성코드를 프리민트에 업로드해 놓고 275 이더리움(ETH) 상당(약 4억 9,258만 원)의 NFT를 탈취, 이번 해킹은 악성코드를 시스템에 삽입, 가상자산 지갑 거래의 모든 권한을 탈취하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추정